공신을 포함하는 여섯 글자 이상의 단어: 44개

두 글자:1개 세 글자:9개 네 글자:52개 다섯 글자:9개 🍕여섯 글자 이상: 44개 모든 글자:115개

  • 홍진 호성공신 교서 : (1)강원도 홍천군 남양 홍씨 예사공파 종회가 소장한 조선 시대의 교서. 조선 선조37년(1604)에 홍진에게 내린 것으로, 2등 공신의 녹훈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당시 호성공신에 대한 포상 규정을 살펴볼 수 있다. 보물 제1308호.
  • 이운룡 선무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 : (1)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재령 이씨 지암 종중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문적. 선조 37년(1604)에 이운룡에게 내린 상훈 교서와 교지 등 두 점으로, 조선 시대 공신 연구와 임진왜란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보물 제1212호.
  • 개국원종공신 : (1)조선 시대에, 개국 공신을 늘리려는 의도에서 원종공신에게 내린 훈호 또는 그 공신. 조선에 들어와 신포상 제도로서 마련된 것으로, 정공신(正功臣)인 개국 공신을 늘리려는 의도가 변경되어 28인의 원종공신을 책봉한 데서 비롯되었다.
  • 공공 신탁 이론 : (1)일반 국민의 공적 이익을 위하여 중요한 자연 자원은 그 소유자에게 신탁되어 있다고 보고, 소유자는 공공 수탁자로서 이를 보전하고 보호하여야 할 의무를 부담한다는 이론.
  • 김시민 선무공신교서 : (1)경상남도 진주시 국립 진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교서. 진주 대첩에서 승리한 김시민에게 내린 것으로, 그의 공적과 포상 내역이 기록되어 있다. 보물 제1476호.
  • 원종공신녹권 : (1)고려ㆍ조선 시대에, 왕이 원종공신에 대한 포상을 규정하여 내린 증명서. 공적 내용, 명단, 포상 내용이 기재되었다.
  • 양무원종공신녹권 : (1)조선 영조 4년(1728)에, 양무녹훈도감(揚武錄勳都監)에서 양무원종공신에게 내린 포상 증서. 1책의 활자본.
  • 인공 신경 회로망 : (1)사람의 두뇌와 비슷한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 생물의 신경계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단순하지만 적응적인 요소들을 대량으로 병렬 연결한 망들의 계층적 조직이다.
  •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 : (1)조선 시대에, 증직(贈職)된 일등 공신에게 내리던 훈호(勳號).
  • 이원길 개국원종공신녹권 : (1)조선 태조 4년(1395)에 이원길에게 발급한 원종공신녹권. 가로 372cm, 세로 30.4cm이며, 총 243행이다. 국보 제250호.
  • 공신상훈교서 : (1)조선 시대에, 공신도감에서 공신에게 수여하던 상훈 문서. 수사자(受賜者) 각 개인의 공적과 상전(賞典)을 기록한 문서이다.
  • 순충적덕보조공신 : (1)조선 시대에, 증직(贈職)된 이등 공신에게 내리던 훈호(勳號).
  • 이충원 호성공신교서 : (1)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교서. 선조 37년(1604)에,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이충원에게 상장과 훈장을 내리면서 준 교서이다. 글씨는 한석봉이 썼다. 보물 제874호.
  • 장말손 적개공신교서 : (1)조선 세조 13년(1467)에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적개공신이 된 장말손에게 내린 교서. 크기는 가로 150cm, 세로 30cm이며, 현재 45인의 적개공신에게 내려진 교서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 보물 제604호.
  • 마천목 좌명공신녹권 : (1)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국립 고궁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문서. 공신도감에서 마천목(馬天牧)에게 발급한 것으로, 필사본이다. 공식녹권의 체제 및 양식을 비롯하여, 특전과 공신도감의 구성원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보물 제1469호.
  • 수복경성공신 : (1)고려 공민왕 11년(1362)에, 홍건적에게 점령당한 개경을 되찾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공신 호(功臣號).
  • 계해 정사공신 : (1)조선 인조 1년(1623) 계해년에 일어난 인조반정의 공신들. 김유(金瑬), 이귀(李貴), 김자점 등의 일등 공신 10명을 비롯하여 모두 53명이다.
  • 구례 윤문효 공 신도비 : (1)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이평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문신인 윤효손(尹孝孫)의 신도비. 문효(文孝)는 윤효손의 시호이다. 이 비는 중종 14년(1519)에 세워졌는데, 비문은 신용개가 짓고, 글씨는 신공제(申公濟)가 썼다. 보물 제584호.
  •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 (1)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 태사묘에 소장된 고려 시대의 유물 일괄.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운 김선평ㆍ권행ㆍ장정필의 위패를 모신 태사묘의 유물들로, 관모ㆍ허리띠 등 12종 22점이 남아 있다. 보물 제451호.
  • 이십 공신 회맹축 보사공신 녹훈 후 : (1)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전적. 1694년에 갑술환국으로 재집권한 서인이 기사환국 때에 파훈(罷勳)된 다섯 명의 공신을 복훈(復勳)한 것을 계기로 제작하였다. 회맹문(會盟文)을 비롯하여 회맹에 참여한 공신과 자손의 명단 및 불참자의 사유가 실려 있다. 보물 제1513호.
  • 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 유물 : (1)인천광역시 부평구에 거주하는 이성구가 소장하고 있는, 조선 시대의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 유물. 위성공신교서는 이성윤(李誠胤)이 임진왜란 때에 광해군을 호위한 공으로 내려진 것이다. 광해군 때의 공신교서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크다. 보물 제1508호.
  • 이형 좌명원종공신녹권 및 함 : (1)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국립 고궁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공신녹권과 함. 태종 11년(1411)에 태종이 이형에게 발급한 3등 공신녹권으로, 신하의 공로를 가상히 여겨 포상한 것이다. 당시 공신에 대한 대우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보물 제1657호.
  • 건의집병정난공신 : (1)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흥왕사(興王寺)의 변(變)을 진압한 공으로 내린 공신호(功臣號).
  • 창산군 장관의 원종공신녹권 : (1)조선 태조 때의 공신 창산군 장관(張寬)의 공신녹권. 태조 4년(1359)에 하사받은 원종공신녹권으로, 조선 전기의 녹권 문서와 관제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이다.
  • 김회련 공신녹권 : (1)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도봉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문서. 태조 4년(1395)에 김회련을 개국 공신으로 임명한 증서이다. ≪태조실록≫에도 기록되지 않은 내용들이 담겨 있어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보물 정식 명칭은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이다.
  • 이헌국 호성공신교서 : (1)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국립 대구 박물관에 소장된 교서. 임진왜란 때에 이헌국이 선조와 세자를 모시고 수행한 공로를 치하하기 위해 1604년에 내린 것이다. 당시 86명에게 내린 공신교서 가운데 현존하는 드문 자료로, 임진왜란사와 고문서 연구에 도움이 된다. 보물 제1617호.
  • 등기의 공신 : (1)어떤 부동산 등기를 신뢰하여 거래한 사람이 있는 경우, 비록 그 등기가 진실한 권리 관계에 합치하지 않는 것이더라도 그 사람의 신뢰가 보호되는 등기의 효력.
  • 윤문효공 신도비 : (1)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이평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문신인 윤효손(尹孝孫)의 신도비. 문효(文孝)는 윤효손의 시호이다. 이 비는 중종 14년(1519)에 세워졌는데, 비문은 신용개가 짓고, 글씨는 신공제(申公濟)가 썼다. 보물 정식 명칭은 ‘구례 윤문효 공 신도비’이다.
  • 십구공신회맹록 : (1)조선 인조 6년(1628)에, 회맹제를 지낸 뒤 그것과 관계된 기록을 엮은 책. 십구공신이란 조선 초기의 개국 공신부터 1628년의 영사공신까지의 모든 공신을 이른다. 앞부분에 임금이 천지ㆍ사직ㆍ종묘ㆍ산천백신지령에게 고한 회맹문을 싣고, 뒤에 참가자의 명단과 불참자의 명단 및 그 사유를 기록해 놓았다. 1책.
  • 적개공신 장말손 상훈교서 : (1)조선 세조 13년(1467)에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적개공신이 된 장말손에게 내린 교서. 크기는 가로 150cm, 세로 30cm이며, 현재 45인의 적개공신에게 내려진 교서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장말손 적개공신교서’이다.
  • 공신호초소 : (1)비행기 승무원들에게 약정 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장비 및 무선 통신 수단 따위를 설비하여 놓는 초소.
  • 의안백 이화 개국공신녹권 : (1)조선 시대에, 개국공신 이화에게 내린 포상 증서. 세로 35.3cm의 닥나무 종이 아홉 장을 붙여 전체 길이가 604.9cm에 이른다. 개국공신녹권으로는 최초로 발견된 것이다. 국보 제232호.
  • 이십 공신 회맹축 영국공신 녹훈 후 : (1)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전적. 인조 24년(1646)에 임금이 개국 공신과 영국공신 등 20명과 그 자손들을 거느리고 회맹제를 행한 뒤, 회맹문(會盟文)과 참여 명단인 회맹록(會盟錄) 따위를 기록한 것이다. 보물 제1512호.
  • 이제 개국공신교서 : (1)경상남도 산청군에 있는, 조선 시대의 공신교서. 조선 태조 원년(1392)에 이성계가 이제에게 내린 것으로, 현재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는 개국공신교서이다. 보물 제1294호.
  • 신축호종공신 : (1)고려 공민왕 10년(1361)에, 홍건적 침입 시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렸던 공신호(功臣號).
  • 이화 개국공신녹권 : (1)조선 시대에, 개국공신 이화에게 내린 포상 증서. 세로 35.3cm의 닥나무 종이 아홉 장을 붙여 전체 길이가 604.9cm에 이른다. 개국공신녹권으로는 최초로 발견된 것이다. 국보 제232호.
  • 십칠공신회맹록 : (1)인조 3년(1625)에 이괄의 난을 진압하고 십칠공신과 그 자손들이 회맹한 것을 녹훈도감에서 간행한 책. 십칠공신은 개국(開國)ㆍ정사(定社)ㆍ정난(靖難)ㆍ정국(靖國)ㆍ선무(宣武)ㆍ진무(振武)공신 등을 말한다. 난적을 토멸한 공신을 책록(策錄)하고 왕권의 공고화와 국가의 기강 확립을 위한 맹약의 성격을 띠고 있다. 공신 제도 연구의 기본 사료로서 가치가 있다. 1책.
  • 개국원종공신녹권 : (1)조선 시대에, 공신도감에서 개국원종공신에게 내린 포상 증서. 1축의 두루마리 문서로, 이두(吏讀)가 많이 쓰여 국어학이나 역사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조선 시대 목각 활자로 인쇄된 문헌으로서 남한에 현존하는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다. 태조 4년(1395)에 간행된 것과 태조 6년(1397)에 간행된 것이 있다. 각각 이원길(李原吉), 심지백(沈之伯)에게 내린 것으로 국보 제250호와 제69호이다.
  • 순충보조공신 : (1)조선 시대에, 증직(贈職)된 삼등 공신에게 내리던 훈호(勳號).
  •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 : (1)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도봉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문서. 태조 4년(1395)에 김회련을 개국 공신으로 임명한 증서이다. ≪태조실록≫에도 기록되지 않은 내용들이 담겨 있어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보물 제437호.
  •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 (1)조선 태조 때의 공신 창산군 장관(張寬)의 공신녹권. 태조 4년(1359)에 하사받은 원종공신녹권으로, 조선 전기의 녹권 문서와 관제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보물 제726호.
  •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 (1)조선 시대에, 공신도감에서 개국원종공신인 심지백에게 내린 포상 증서. 가로 140cm, 세로 30.5cm이다. 1축의 두루마리 문서로, 이두가 많이 쓰여 국어학과 역사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조선 태조 6년(1397)에 간행되었다. 국보 제69호.
  • 완양 부원군 이충원 호성공신교서 : (1)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교서. 선조 37년(1604)에,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이충원에게 상장과 훈장을 내리면서 준 교서이다. 글씨는 한석봉이 썼다. 보물 정식 명칭은 ‘이충원 호성공신교서’이다.
  •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 문적 : (1)충청북도 청주시 국립 청주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 신경행의 공신 교서와 관련 문적. 교서와 유서, 시호 서경, 증시 교지, 조은 신공 시장, 공신녹권 등 모두 9점으로, 조선 시대 공신 연구 및 서지학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보물 제1380호.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201개) : 가사, 가산, 가살, 가삼, 가상, 가새, 가색, 가생, 가서, 가석, 가선, 가설, 가섭, 가성, 가세, 가셜, 가소, 가속, 가손, 가솔, 가송, 가쇄, 가쇠, 가쇼, 가수, 가숙, 가술, 가숨, 가쉐, 가쉬, 가스, 가슬, 가슭, 가슴, 가습, 가승, 가시, 가식, 가신, 가실, 가싥, 가심, 가십, 각사, 각삭, 각산, 각삼, 각삽, 각상, 각색, 각생, 각서, 각석, 각선, 각설, 각성, 각소, 각손, 각쇠, 각수, 각숙, 각순, 각승, 각시, 각신, 각실, 각심, 간사, 간삭, 간산, 간살, 간삼, 간삽, 간상, 간새, 간색, 간서, 간석, 간선, 간섭, 간성, 간세, 간소, 간솔, 간송, 간쇼, 간수, 간순, 간술, 간슈, 간습, 간승, 간시, 간식, 간신, 간심, 간십, 갈사, 갈삭, 갈산 ...

실전 끝말 잇기

공신으로 시작하는 단어 (21개) : 공신, 공신노비, 공신녹권, 공신도감, 공신력, 공신록, 공신 사패, 공신 사패전, 공신상훈교서, 공신 옹주, 공신용, 공신의 원칙, 공신 적장, 공신적 증권, 공신전, 공신 전토, 공신정훈, 공신축, 공신포, 공신하다, 공신 회맹제 ...
공신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공신을 포함하는 여섯 글자 이상 단어는 44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